수신제가치국평천하

UCC 인생설계

가족의탄생 15

제 6강 가족의 일상속에 담긴 ucc영상 만들기

일상이란? 매일 반복되는 생활이란 뜻이다. ucc꺼리를 찾는데 이런 일상적인 이야기도 때론 멋진 ucc 소재가 된다. 지금까지 특별함을 강조해왔지만, 가족 영상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 일상이야말로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싶다. 일상적인 이야기를 하나로 묶어줄 주제를 찾아 나열해보자. 마치 동화를 보듯이 스토리가 만들어지고, 이야기가 펼쳐진다. 조금 연관성이 부족해도 장면 전환을 통해 이야기를 꾸려 갈 수 있다. 한번 예를 들어보겠다. 영상에 담긴 실제 이야기를.. 어느날 한통의 전화가 걸려온다. 이벤트에 당첨되었단다. 꽃과 케익을 배달해준단다. 이때만해도 나에게 경품당첨은 너무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런데 이 선물을 어디다 쓴담?? 일상속으로.. ..

제 5강 결혼기념일 동영상 만들기

결혼기념일은 생일을 제외하고 가장 기념되는 날이다. 1주년,5주년,10주년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은혼식과 금혼식이 가장 기념적이다. 부모님이 결혼 25주년을 맞이하면 대부분의 자식들은 나이가 24살 전후가 된다. 컴퓨터 활용 능력이 충분한 나이때 부모님께 잊지 못할 선물을 하는 것은 어떨까요 네이버에 "은혼식"이라고 검색을 해보자. 은혼식에 대한 ucc가 꽤 많이 검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뭔가 부족하다느 느낌을 받을 것이다. 무엇이 부족한 것일까? 결혼기념일은 지극히 개인적이기 때문에 영상 자체가 자축의 의미가 강하고, 지속적인 사진 나열은 자칫 지루해지기 쉽다. 모두에게 공감을 이끌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내가 생각해낸 것이 부모님 발씻겨 드리기 이벤트이다. 그냥 이벤트로 그쳐도 ..

제 3강 군대가는날 동영상 만들기

가족중에 남자가 있다면, 형이 되었든, 남동생이 되었든, 아들이 되었든, 또는 딸?! 한번쯤 선물해보는 것은 어떨까? 다녀온 사람이면 누구나 다 안다. 입대를 앞두고 희비가 교차하면서 마음을 정리하게 된다. 본인이라면, 이런 복잡한 심경에 입대날까지 술로 나날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좀더 의미있는 일을 하고 가는 것도 좋을 것같다. 그게 바로 동영상 제작이다. 난 가장 가깝고도 가장 많이 싸운 동생을 위해 조용히 영상을 준비하여 보여주었다. 4년전 동생이 처음 입대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영상을 만드느라 정신이 없었다. 또 지금처럼 기술이 좋지 못해 영상 인코딩으로 인해 화질이 많이 훼손되었는데, 하도 제작한지 오래되서 복구가 불가능하다. 그래도 어쩔 수 없다. 입대 동영상을 만드는데 몇가지 요령..

제 2강 부모님 감사영상을 만들기

최근 모 사이트에서 "고맙습니다"란 주제로 장기간 이벤트를 펼친 적이 있다. 가족,연인,스승등 고마운 대상에게 동영상을 선물하는 ucc였다. 다양한 동영상이 올라왔는데 개개인간의 실력차이는 있지만, 그안에 담긴 마음은 다 같은 마음이었다. (몇몇 이벤트용 영상 빼고는~) 처음에 ucc란 단어가 있기전부터 개인제작 영상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다. 그런 내가 가장 먼저 해보고 싶은 것이 바로 부모님 감사영상이었다. 하지만 생각만큼 제작이 어렵고들 말한다. 실제 이벤트를 신청한 사람은 정말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럼 왜 이렇게 하기 동영상 제작이 어려운 걸까?? 1.막연한 준비부족 동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뭐부터 찍어야 할지 참 고민되는 부분이다. 당장 캠코더도 없는데 연기를 해서 소스를 확보하는 작업은 애초부터 ..

제 1강 가족에게 감동을 선사하세요

ucc 사랑고백비법에 이어 두번째 강좌를 시작해본다. 내맘대로..ㅋㅋㅋㅋ 이번에는 우선 장문으로 설명을 우선 해보고, 각 영상별로 특징이나 에피소드를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가족동영상비법 두둥~!! ucc가 대중적으로 보편화되면서 누구나 ucc를 만드는 시대가 왔습니다. 그렇지만 정작 만들라 그러면 일에 쫓겨, 시간에 쫓겨 미룩고 미루다 결국 못만들게 됩니다. (부모님 제가 성공하면 호강시켜드릴게요~~ 이거랑 똑같다) 필자가 느끼기에 빠르면 일주일, 길게는 한달여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단순히 무작정 컴퓨터에만 앉아서 작업을 시작하면, 태반이 쉽게 포기를 하게 됩니다. 그만큼 준비가 단계적으로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꼭 시간이 오래 걸려야 좋은 작품이 나오는건 아니지만, 자신이 시간을 투자한만큼 뒤에 아쉬움..